2008년부터 심보선의 팬이었다. 


지금으로부터 10년전쯤 한겨레21에서 연재되던 '시 읽어주는 남자'라는 칼럼이 있었다. 나는 그 지면을 통해 심보선을 처음 알게 되었다. 당시 나는 자기애가 지나친 고등학생이었다. 그 시절에 트위터, 혹은 지금 형태의 페이스북 (그땐 페이스북에 좀처럼 긴 글이 올라오지 않았다) 같은 게 있었다고 생각하면 소름이 끼친다. 

지금도 그 기질을 완전히 버렸다고 말 못하지만, 그 시절의 나는 엄청난 드라마퀸이었다. 물론 이것은 그 시절의 나를 회상하면 부끄러워서 견딜 수 없는 기분이 들기 때문에 어느정도 과장해서 하는 이야기다. 나는 자의식과잉이라는 점 빼면 크게 표준에서 벗어나는 친구는 아니었다. 시인에게는 미안한 이야기지만, 그 시절에 읽기 시작한 저자라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솔직히 나는 아직도 심보선을 좋아한다는 게 다소 길티플레져로 느껴지고, 민망하다. 

그런 설레면서도 찔리는 마음으로 그의 (아마도) 세번째 시집을 샀다. 

적잖이 놀랐다.  


(여기까지가 2017년 9월 9일의 내 감상이라고, 2018년 5월 9일에 적는다)


2018년 5월 9일에 이 글을 이어 쓰자면 아주 단순한 이야기밖에 할 수가 없다고 일단 변명을 해둔다. 

심보선의 테마가 많이 변했다. 물론 전작들과의 연속성이 아예 없지는 않지만, <오늘은 잘 모르겠어>에서 주가 된 거시적 주제들, 이를테면 용산 참사, 등은 전작들에선 모호하고 주변적으로 제시되곤 했다. 이를테면 <인중을 긁적거리며>에서 그의 '친구들'이 등장하는 방식을 보라. 아마 운동권이었을 그들은 그들의 행위 자체와는 분리된 채 서정시(혹은 연애시)의 일부로 등장한다. <오늘은 잘 모르겠어>의 스타일은 확실히 다르다. 시어도 훨씬 리얼리스틱해졌을 뿐 아니라 사건들은 구체적으로 등장한다. 

그 외에 할 말이 많지는 않다. 나는 이 시집을 한번 밖에 읽지 않았다. <슬픔이 없는 십오 초>와 <눈앞에 없는 사람>을 각각 서른번씩은 족히 읽었을 나이다. 그렇다고 내가 이 시집을 덜 좋아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 (물론 덜 집착한다고는 할 수 있겠다). 

만약 심보선이 비슷한 시를 계속 쓰고 있었다면 나는 고등학생때의 자아를 버리듯이 부끄러움을 이기지 못하고 심보선을 부정했을 것이다. 

안심하고 그의 다음 시집을 기다린다.

Posted by 松.
,